한동훈은 친중 정치인인가? 배신자인가?

이미지
한동훈은 친중 정치인이다 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이 문서는 그에 대한 반론을 제기합니다. 우선 한동훈이 친중이라는 주장의 근거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민청 신설 부정선거 음모론 취급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성 장인어른의 중국 사업 내각제 세력 이렇게 5가지를 꼽을 수 있는데요. 위 5가지 근거는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면 오해하고 있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왜 그런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민청 신설 계획 출처: 중앙일보 ( 원문 ) 알다시피 한동훈은 법무부 장관 시절 이민청 신설을 준비하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것이 중국인 귀화를 목적으로 한 정책으로 오해를 하고 있다는 것이죠. 실상은 전혀 다릅니다. 오히려 현재 이민청이 없는 상태에서 조선족 및 조선족으로 위장한 한족이 쉽게 한국인 국적을 취득하고 있는 현실인데요. 그 이유는 이민 관리 부서가 파편화 되어있기 때문이죠. 보수주의자, 우파 진영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잘 알 겁니다. 지방분권화 될 수록 외세(중국) 개입에 더욱 취약해진다는 것을요. 한동훈은 이민청 신설로 외국인, 이민자를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를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출처: 조선일보 ( 원문 ) 이는 위의 기사 원문 내용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조선족 중국 교포라고 해서 우대해주는 것이 아니라 국익을 우선으로 하여 부족한 인원만 선별하여 이민자를 받겠다는 점이죠. 이는 미국식 이민정책에 가깝습니다. 미국의 경우 각계각층 직업별로 부족한 노동자에 따라서 이민자 출입 통로가 제한되어있죠. 출처: 경향신문 ( 원문 ) 위의 경향신문 기사 원문을 읽어보면 한동훈은 불법체류자는 엄단하여 내쫒고 한국인 청년들이 피해를 볼 일이 없다고 이야기하였습니다. 이를 경향신문에서는 좋은 외국인, 나쁜 외국인 차별하는 것 아니냐고 비판한 기사이죠. 그러나 외국인 이민을 받을 때 반드시 차별을 두어서 받아야 합니다. 그 외국인이 한국인에게 피해를 끼칠 수 있는 사람인지 엄중한 심사를 거쳐야하는 건 모두 동의하실겁니다. 확실한 건 한동훈도 나쁜 외국인은 중국인이라고 생각하...

국민의힘 윤상현 국회의원 친중 정치인 논란.

이미지
윤상현의 친중 행위 의혹 윤상현은 친중 우파 정치인 의혹이 있는 인물 입니다. 그 근거 자료를 정리하였습니다. 한중의원연맹 참석 출처: SPN 서울평양뉴스 2024.09.22 (원문 링크 ) 한중의원연맹은 한국 국회의원과 중국 국회의원과 만나서 의견을 공유하는 단체입니다. 애초에 일당독재 중국 공산당과 의견을 나눈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죠. 옛날엔 가능했다고 치더라도 현재 중국은 한국을 잡아먹을 심산이기에 이 행위는 이적행위로볼 수 있다고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그것도 무려 2024년 9월에 참석했다는 건 최근까지도 친중행위를 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중국 비밀경찰서 의혹 조직 동방명주 방문 출처: FN투데이 2023.01.27 (원문 링크 ) 서울 잠실 한강변에 위치한 중식당 '동방명주'는 정보당국에 의하면 중국 비밀경찰이 맞는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행법상 간첩법을 처벌할 규제가 없기 중국 간첩이 활동을 하더라도 방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죠. 윤상현 의원은 이 중식당에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그것도 한국의 정치인 대다수가 이곳에서 동방명주 대표인 '왕해군'을 만난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만약 동방명주가 중국 비밀경찰이 맞다면 이미 윤상현 의원은 중국에 매수 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중도시우호협회 고문 위촉 출처: 경기일보 2016.09.05 (원문  링크 ) 윤상현 의원은 한중도시우호협회에서 고문으로 활동을 한 적 있습니다. 2016년이면 오래전부터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가졌던 것을 알 수 있죠. 한중도시우호협회는 사단법인으로 중국과 경제 협력을 원하는 단체입니다. 해당 홈페이지를 들어가보니 2020년 중국 왕이 외교부장이 한국에 방문했을 때 기록도 업로드 되어있습니다. 개헌 내각제 발언 의혹 출처: 뉴데일리 2024.12.11 (원문  링크 ) 윤상현 의원은 국회 토론에서 '제왕적 대통령제를 고칠 마지막 기회'라는 발언을 하였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반대하면서도 교묘하게 의원내각제로 개헌을 하려는 속...

노트북 서멀구리스 재도포하기 MX-4

이미지
노트북에 GPU 냉납현상을 고치려고 하판 뚜껑을 열었는데요. 구리판 히트싱크도 열어야 했기에 서멀 구리스도 재도포 해야했습니다. 데스크탑 서멀 재도포는 쉽게 할 수 있지만 노트북은 내부기판이 복잡하기 때문에 어려운점이 있죠. 우선 노트북 하판 뚜껑을 열면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배터리를 제거해야합니다. 혹시 모를 정전기에 의한 쇼트를 예방하기 위해서 인데요. 배터리 부분을 보면 이렇게 케이블이 포트에 연결 된 걸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이걸 분리시켜 놓아야 합니다. 노트북은 나사로 고정된 히트싱크를 제거해주어야 하는데요. 나사갯수가 상당히 많습니다. 쿨링 팬에도 나사가 고정되어있는데 모두 풀어야 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히트싱크를 자세히 보면 어떤 제품은 위의 캡쳐 이미지처럼 번호가 적혀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는 히트싱크를 다시 붙일 때 나사를 조이는 순서입니다. 위의 순서에 맞게 나사를 조여야 합니다. 히트싱크를 들어내면 CPU, GPU칩이 보입니다. 왼쪽에 보이는 큰 칩이 그래픽카드이고요. 오른쪽에 보이는 칩이 CPU 입니다. 저는 물티슈를 이용하여 닦았습니다. 배터리를 제거 했기 때문에 물티슈로 닦아도 괜찮아요.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이니까 물티슈로 닦은 후 물기가 마르도록 5분 정도 놔둡니다. 저는 서멀페이스트를 MX-4 제품으로 골랐습니다. 국민 서멀이라고 부르는 제품이죠. 쿠팡에서 7,500원 정도로 구입했습니다. CPU, GPU 은색 부분에 서멀구리스를 발라주면 되는데요. 토스트 잼 바르듯이 얇게 펴바르지 말고 물방울 모양으로 짜면 됩니다.  이런식으로 말이죠. 어차피 구리판으로 덮으면 압력에 의해 완전히 밀착됩니다. GPU 부분은 사이즈가 커서 'X'자 모양으로 서멀을 발랐습니다. 그런 다음에 히트싱크를 끼우는데요. 아까 전에 설명한 것 처럼 히트싱크에 적힌 번호를 순서대로 나사를 조이면 됩니다.  전원을 켜고 게임을 실행시켜봤는데요. 아주 안정적으로 온도관리가 잘 됩니다. MX-4 서멀 구리스가 좋은 제품인...

컴퓨터, 노트북 화면이 안 나와요. 그래픽카드 냉납 현상 자가수리 도전기.

이미지
노트북 그래픽카드 고장 증상 제가 10년 정도 사용한 게이밍 노트북이 고장났습니다. 증상은 장치관리자에서 그래픽카드를 인식하지 못 합니다. 분명히 GTX1070 그래픽카드가 장착이 되어있는데 전혀 신호를 못 받고 있죠. 이 뿐만이 아니라 부팅 후 블루스크린이 발생하고요. 'nvlddmkm.sys' 문제가 발생하면서 컴퓨터 사용 중에도 갑자기 멈춰버립니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재설치 시도 해봐도 마찬가지였어요. 원인을 찾던 중에 그래픽카드 냉납 증상으로 인한 고장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냉납현상 냉납현상은 납땜이 제대로 되지 않아 전기 신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증상입니다. 제품 제조과정에서 납땜 불량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요즘 발생하는 냉납증상은 무연납 노후화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2010년대부터 납이 들어있는 유연납에서 납이 없는 무연납으로 바뀌게 됩니다. 납중독에 의한 인체 건강을 우려하여 전세계적으로 실제 납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무연납으로 바뀐 후 납땜 물성 변화로 인해 내구성이 약해졌는데요. 열 팽창 수축에 의한 스트레스에 취약해졌습니다. 출처: 미국 오번대학교 재료공학과 위의 이미지는 납땜이 되어있는 기판을 현미경으로 본 사진입니다. 가운데 동그란 부분이 납입니다. 위아래로 샌드위치처럼 PCB 기판이 붙어있죠. 그러나 빨간색 화살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크랙이 발생하여 전기신호를 받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인은 PCB기판의 열팽창계수와 볼납의 열팽창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온도변화 횟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크랙이 발생합니다.  납땜 수축팽창 횟수에 따른 데미지 연구 논문에서는 수축팽장 횟수가 1,000회 사이클일 때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요. 횟수가 늘어날 수록 납땜 부위가 심하게 깨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카드는 30~95℃ 범위로 온도 변화가 매우 큽니다. 특히 겨울이 되면 영하의 온도로 떨어지잖아요? 노트북의 경우 밖에서 들고 다닐 일도 많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더욱 취약하고 그만큼...

컴퓨터 노트북에서 소리가 안나요. 증상 해결방법 윈도우11 스피커 문제.

이미지
윈도우11에서 특정 프로그램에서만 소리가 안들리는 증상을 겪는 분들이 있을겁니다. 저도 윈10을 사용하다가 윈11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겨우 원인을 찾은 증상인데요. 저의 경우는 프리미어 프로 프로그램 작업에서 스피커에서만 소리가 안 들렸는데요. 그런데 이어폰을 꽂으면 이어폰에서는 소리가 정상 출력 되더군요. 방법은 개별 프로그램 스피커 볼륨 조절을 설정해주면 되었습니다. 우측 아래에 소리 제어창을 클릭한 뒤 캡쳐화면에 표시한 부분을 클릭합니다. 그런 다음에 마우스 스크롤을 쭉 내려보면 '볼륨 믹서' 부분에 각 프로그램마다 스피커 음량을 조절 할 수 있는 설정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프리미어프로 프로그램만 음소거 상태로 되어있어서 소리가 나지 않았던 것이었습니다. 인터넷에서 검색해봐도 이 문제점을 지적한 사람은 없더군요. 그래서 이렇게 글을 남겨봅니다.